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클라이밍(Climbing)의 종류와 대회형식, 필요한 근력과 훈련에 대하여

by 우브리 2023. 5. 18.
반응형

클라이밍은 산악 등에서 바위나 인공 구조물 등을 올라가는 스포츠로 최근 관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안전한 환경에서 즐길 수 있는 인공 클라이밍장이 많이 생기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클라이밍의 종류와 대회 형식, 그리고 운동에 필요한 근력과 이를 키울 수 있는 근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클라이밍의 종류

(1) 암벽 등반: 암벽 등반에는 자연 암층, 절벽 또는 인공 암벽의 상승이 포함됩니다. 그러려면 힘, 균형, 기술력이 필요합니다. 다양한 유형의 암벽 등반에는 볼더링(짧고 로프가 없는 도전적인 클라이밍), 스포츠 클라이밍(사전 설치된 보호구 사용), 전통적인 클라이밍(등산 시 기어 배치) 등이 있습니다.

(2) 실내 등반: 실내클라이밍은 체육관이나 클라이밍시설에서 만들어진 인공벽에서 이루어집니다. 클라이머가 연습하고 기술을 신장시키기 위한 제어된 환경을 제공합니다. 실내클라이밍은 다양한 경로와 난이도를 제공하며 모든 레벨의 클라이머가 접근할 수 있습니다.

(3) 아이스 클라이밍: 아이스 클라이밍은 언 폭포나 얼음으로 덮인 절벽 등 얼음 층을 오르는 것을 포함합니다. 클라이머는 얼음 축, 아이젠, 로프를 사용하여 미끄러운 지형을 탐색합니다. 아이스 클라이밍은 얼음 특성상 전문적인 기술과 장비가 필요합니다.

(4) 등산 : 등산에는 산이나 고소봉으로의 등산이 포함됩니다. 암벽 등반, 아이스 클라이밍, 하이킹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산악인은 혹독한 날씨, 극심한 추위, 고도의 고도에 직면해 있어 고도의 기술과 경험이 필요합니다.

 

2. 클라이밍 대회 형식

(1) 리드 클라이밍: 벽 또는 바위 표면에서 미리 설정된 경로를 오르는 방식입니다. 참가자는 로프를 오르면서 퀵드로 또는 기타 고정 포인트에 클립 하여 정해진 시간 내에 루트의 최고점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클라이머는 도달한 최고점, 클립 된 퀵드로의 수 또는 루트 완료에 걸린 시간을 기준으로 평가됩니다.

(2) 볼더링: 볼더링 경기는 "볼더스"로 알려진 짧고 역동적인 클라이밍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클라이머는 지정된 횟수 내 또는 가능한 한 적은 횟수로 이 문제를 완성하려고 합니다. 볼더링 경기는 등산객의 체력, 기술, 문제 해결 능력을 보여주며 도전적인 루트를 극복하기 위한 폭발적인 움직임과 창의적인 접근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3) 스피드 클라이밍: 스피드 클라이밍 경기는 수직벽의 표준화된 루트를 얼마나 빨리 오를 수 있는지 측정합니다. 참가자는 같은 경로로 나란히 경쟁하여 가장 빠른 시간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스피드 클라이밍에는 강도, 민첩성, 정확도의 조합이 필요합니다. 클라이머들은 기록을 경신하고 번개 같은 빠른 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3. 클라이밍에 필요한 근력

(1) 손가락과 그립의 강도: 클라이밍은 손가락과 그립에 많은 근력을 필요로 합니다. 등산 중에 홀드를 유지하고 컨트롤을 유지하려면 손가락, 팔, 손을 강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립 강도 향상은 핑거보드 트레이닝, 행보드, 그립트레이너 또는 그립강화제 사용 등의 운동을 통해 달성할 수 있습니다.

(2) 코어 강도: 강한 코어는 등산 중 안정성, 균형, 컨트롤을 제공합니다. 하체에서 상체로의 힘 전달에 도움이 되며 등산 중에도 몸의 긴장을 유지합니다. 판, 리프팅 다리, 러시아 트위스트, 우드 찹 등의 코어 운동은 견고한 코어 기반 개발에 도움이 됩니다.

(3) 상체 근력: 등, 어깨, 팔 등 상체가 등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영역에서 강도를 구축함으로써 홀드에 손을 뻗으면서 효과적인 당김 동작과 안정성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상체 근력을 목표로 하기 위해 풀업, 라인, 팔굽혀펴기, 어깨누르기는 훌륭한 운동입니다.

(4) 하체 근력: 클라이밍은 주로 상체를 이용하지만 강한 다리와 하체 근육은 안정성, 밸런스, 서포트를 제공합니다. 스쿼트, 폐, 스텝업, 종아리 올리기 등의 운동을 통해 하체를 강화하면 풋워크, 파워, 전반적인 등산 성능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4. 클라이밍을 위한 훈련

(1) 행보드: 행보드에는 손가락과 그립의 강도를 목표로 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홀드에서 매달 수 있습니다. 데드 행, 핑거 풀업, 오프셋 행 등 다양한 행보드 운동을 트레이닝 루틴에 통합할 수 있습니다.

(2) 캠퍼스 보드의 트레이닝: 캠퍼스 보드는 고리 또는 나무 블록으로 구성된 도구입니다. 이 훈련은 폭발적인 상체의 힘과 접촉 강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연습에는 캠퍼스 음역, 더블 다이노, 한쪽 팔의 움직임 등 역동적인 움직임이 포함되며 이 모든 것이 등산에 필요한 강력한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합니다.

(3) 볼더링과 루트: 등산 특유의 강도는 실제로 바위나 루트에 올라감으로써 개발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난이도의 다양한 경로로 정기적으로 도전하고 더 어려운 문제를 예측하는 데 집중함으로써 당신의 힘과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